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정책학 전공은 종합적 사회과학분야인 정책학의 기본소양과 지식은 물론 다양한 정책분야에 대한 경험적 분석을 위주로 21세기 변화하는 행정 및 정책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행정인, 기업인, 사회인의 양성을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책학 공무원은 물론 군인,민간기업 종사자, 자영업자 정책 이론을 토대로 개별 정책사례들이 가지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루기 위해 다양한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다.정책학 전공은 공무원은 물론 군인, 민간기업의 회사원, 자영업자 등 광범위한 직업인들의 정책 마인드를 가르치는데 일조하고 있다.
신계균 (주임교수) 교수 02-910-4432 /북악관 1408호 gshin@kookmin.ac.kr |
성명 | 직위 | 취득 학위 | 연락처 |
---|---|---|---|
홍성걸 | 교수 | 정치학 박사 | 02-910-4439 sghong@kookmin.ac.kr |
조경호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4431 khcho@kookmin.ac.kr |
이석환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4308 palee@kookmin.ac.kr |
안미영 | 교수 | 사회정책학 박사 | 02-910-4433 myan@kookmin.ac.kr |
최진식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4435 jscjsc@kookmin.ac.kr |
하현상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5625 hsha@kookmin.ac.kr |
김병준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5627 kimbj@kookmin.ac.kr |
박현희 | 부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5481 hhpark@kookmin.ac.kr |
신계균 | 조교수 | 정치학박사 | 02-910-4432 gshin@kookmin.ac.kr |
임영빈 | 조교수 | 도시 및 지역계획학 전공 | 02-910-4436 yblym0207@kookmin.ac.kr |
유진룡 | 석좌교수 | 행정학 박사 | yoojr09@gmail.com |
박재휘 | 특임교수 | 안보재난관리학 박사 | polskapark@hanmail.net |
김승녕 | 겸임교수 | 행정학 박사 | ksn3712@paran.com |
안광일 | 겸임교수 | 행정학 박사 | abttlezang@hanmail.net |
오강탁 | 겸임교수 | 행정학 박사 | kangtak.oh@gmail.com |
김채규 | 겸임교수 | 행정학 박사 | cgyukim1@naver.com |
이수구분
|
학점
|
교과목명
|
영어 교과목명
|
---|---|---|---|
공통필수
|
2
|
행정과 정책
|
Introduction to Public Administration & Policy
|
2
|
사회현상과 행정통계
|
Social Phenomenon & Statistics for Public Administration
|
이수구분
|
학점
|
교과목명
|
영어 교과목명
|
---|---|---|---|
전공선택
|
(공공전략 트랙) | ||
2 | 시민주도형 정부성과관리 | Citizen-Driven Government Performance | |
2 | 전략적 성과관리시스템과 의사결정 |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 Decision Making | |
2 | 공공 마케팅 | Public Marketing | |
2 | 공공브랜드관리 | Public Brand Management | |
2 | 민·관·학 협동전략 | Cooperation Strategies among Private and Public Entities | |
2 | 협상과 갈등관리 | Negotiation & Conflict Management | |
(행정관리 트랙) | |||
2 | 조직진단과 생산성 | Organization Diagnosis & Productivity | |
2 | 행정과 리더십 | Public Administration & Leadership | |
2 | 조직문화와 행정행태 | Organization Culture & Administrative Behavior | |
2 | 자원배분 | Resource Allocation | |
2 | 공공인적자원관리 | Public Sector Human Resource Management | |
2 | 공공책임과 윤리 | Public Accountability & Ethics | |
2 | 위기관리와 안전사회 | Crisis Management & Safe Society | |
(정책품질관리 트랙) | |||
2 | 사업타당성 분석과 기획수립 | Project Validity Analysis & Planning | |
2 | 프로젝트 성과관리 |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 |
2 | 정책품질관리 기법 Ⅰ | Quality Management for Policies Ⅰ | |
2 | 정책품질관리 기법 Ⅱ | Quality Management for Policies Ⅱ | |
2 | 경제 활성화와 기업유치 전략 | Strategies for Attrac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Enterprises | |
2 | 공공디자인 | Public Design | |
2 | 정부규제 | Government Regulation |
공공부문에서 일어나는 전반적인 현상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기 위하여 공익의 가치와 이념, 조직관리, 인사행정, 재무행정, 분야별 정책의 이론 및 실제를 지식정보화사회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공공부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창의적 기획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전략이 논의된다.
창의적 기획과 분석능력을 갖춘 관리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공공부문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는 미래예측기법, 통계적 방법론, 그리고 이를 활용한 조사 설계에 이르기 까지 종합적인 분석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이론의 습득과 컴퓨터를 활용한 실습이 이루어진다.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성과관리가 정부주도형이 아닌 시민참여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이와 관련한 시민참여 방법론, 성과지표 개발 참여방법론 등 시민의 의견을 성과관리에 반영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전략적 성과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념과 모형을 논의하고 성과지표의 측정을 통한 성과분석 방법론, 조직내 수평적, 수직적 의사소통 전략 등의 탐구를 통하여 성과분석 정보를 실제 업무와 관련된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방법을 논의한다.
공공부문의 마케팅전략을 다양한 차원에서 논의하며 장소마케팅, 정책마케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시민들과 커뮤니케이션 하는 방법, 시민들의 요구사항과 행태를 분석하는 방법을 논의한다.
공공부문에서 고유한 브랜드를 개발하는 방법론을 탐구하고 조직의 이미지 개선을 통하여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한 성공사례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공공조직의 성과향상을 유도한다.
네트워크시대에 공공부문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민·관·학 협동에 관한 모델을 연구하고 과학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에 이르는 사례, 산업정책의 확산 사례, 사회적 기업의 활동영역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민·관·학 공동체가 협동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영역을 탐색한다.
시민들과의 접점 포인트에서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갈등을 전략적으로 줄여나가는 방법론을 연구하고 이를 통하여 시민들의 합의를 이끌어 내는 협상전략과 갈등을 최소화 시키는 전략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조직의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조직의 사무적인 측면에서부터 환경적 측면까지를 진단하는 기법을 연구하고 이를 위한 조직의 구조, 기능, 기술, 행태, 효율성 등에 대한 이해 및 진단방법론을 연구한다.
중간관리자급의 공무원들의 역할론과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연구를 통해 조직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 방법을 고민하고 구성원들의 신뢰와 몰입도를 제고하는 전략을 논의한다.
조직의 다양한 문화유형을 발굴하는 기법과 이를 측정하는 기법의 습득을 통하여 조직구성원들의 행태를 예측하고 동기부여를 위한 효과적인 전략들을 개발한다.
국가목표 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재정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며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형평성 등과 조화롭게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을 논의한다.
동기부여, 승진, 채용, 교육훈련 등 인사행정 전반과 관련된 내용의 이해를 돕고 조직성과에 연계된 전략적 인사관리의 방향 및 기법을 논의한다.
공공조직의 윤리적 책임의 의미와 기준을 이해하고 이것이 공공조직을 넘어선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한다.
위기관리의 관료적, 정치적 과정에 대한 분석적인 능력 배양에 그 목적을 두고 재난 및 위기상황에서의 조직차원에서의 대응과 의사결정, 커뮤니케이션 전략 등을 논의한다.
대규모 지원 사업 및 정책을 시행하기 전에 예비타당성분석의 논리와 기법을 제공하고 성공사례와 실패사례분석을 통하여 바람직한 타당성 분석절차를 제시하며 분석결과를 기획수립에 연계시키는 방법을 논의한다.
대규모 정부지원 사업 등 다양한 사업들에 대한 성과를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연구하고 이를 통해 사업이 효율적으로 집행되고 기대했던 효과가 측정될 수 있는 사업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방법론을 연구한다.
정책의 수요예측, 의제설정, 정책형성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사전적 정책수립의 품질로 보고 각 단계에서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 실제사례분석을 통하여 적용가능성을 탐색한다.
정책이 수립된 이후 집행과정과 분석 및 평가, 피드백 과정을 정책의 사후적 품질관리로 보고 각 단계에서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 실제사례분석을 통하여 적용가능성을 탐색한다.
중앙 및 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기업들을 유치하는 전략을 연구하고 국내기업 유치전략과 해외기업 유치전략 방법론을 구분하여 논의하며 공공부문의 입장에서 기업하기 좋은 환경조성을 위한 전략에 대한 논의가 심도 있게 다루어진다.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모델을 논의하고 국가 전체적 차원에서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건축물과 도로 ·운하, 주거환경에 필요한 공원, 산책로 등의 환경적 시설을 디자인 하는 세부방안과 이러한 디자인이 물리적 기능뿐만 아니라 시각적 환경의 차원에서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안들을 심도 있는 사례분석과 함께 논의한다.
정부규제의 정책문제에 함축된 행정·정책학적 측면과 정부규제 및 규제완화에 관한 정치경제학적 측면을 심도 있게 다룬다. 특히 정부규제의 원인, 과정, 속성, 규제개혁의 방향 등에 대한 토의를 통하여 정부역할의 적정수준을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