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감사학 전공은 감사체계(공공감사 포함)의 효율성 제고, 부정부패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체계 구축, 전문성・공정성・책임성 등을 겸비한 감사인력양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공공부문 감사 전문 인력의 신규 양성과 기존 감사관련 종사 인력에 대한 재교육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유관교육기관과의 공공감사교육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실무 중심적 종합감사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감사관련 교육의 허브(hub)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본 전공은 감사관련 업무에 필요한 전문지식뿐만 아니라 분야별 사례적용, 관련 국제기구 및 국제기준 등을 통하여 전문성과 실무적인 감각, 국제적인 마인드를 겸비한 감사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가 과정이다.
![]() | 조경호 (주임교수) 교수 02-910-4431 / 북악관 1412호 khcho@kookmin.ac.kr |
성명 | 직위 | 취득 학위 | 연락처 |
---|---|---|---|
홍성걸 | 교수 | 정치학 박사 | 02-910-4439 sghong@kookmin.ac.kr |
조경호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4431 khcho@kookmin.ac.kr |
이석환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4308 palee@kookmin.ac.kr |
안미영 | 교수 | 사회정책학 박사 | 02-910-4433 myan@kookmin.ac.kr |
최진식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4435 jscjsc@kookmin.ac.kr |
하현상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5625 hsha@kookmin.ac.kr |
김병준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5627 kimbj@kookmin.ac.kr |
박현희 | 부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5481 hhpark@kookmin.ac.kr |
신계균 | 조교수 | 정치학 박사 | 02-910-4432 gshin@kookmin.ac.kr |
임영빈 | 조교수 | 도시 및 지역계획학 전공 | 02-910-4436 yblym0207@kookmin.ac.kr |
김승녕 | 겸임교수 | 행정학 박사 | ksn3712@paran.com |
안광일 | 겸임교수 | 행정학 박사 | abttlezang@hanmail.net |
오강탁 | 겸임교수 | 행정학 박사 | kangtak.oh@gmail.com |
김채규 | 겸임교수 | 행정학 박사 | cgyukim1@naver.co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Public Accountability | |
2 | 계약감사 | Contract Auditing | |
2 | 지방자치단체 감사사례 | Auditing in Local Government | |
2 | 성과감사 | Performance Auditing | |
2 | 공공사업감사 | Evaluation on Public Projects | |
2 | 지방재정과 공공책임 | Local Finance | |
2 | 감사관련 행정학 (재정학) | Audit-Related Public Administration (Public Finance) | |
2 | 내부감사 | Internal Auditing | |
2 | 관료부패 | Bureaucratic Corruption | |
2 | 국제감사기구와 기준 | International Audit System | |
2 | 공공윤리경영 | Ethical Management in Government | |
2 | 분야별 감사연습 | Practice in Public Audit | |
2 | 공공감사와 통계 | Statistics for Public Auditing | |
2 | 시민참여감사 | Citizen Participation in Public Auditing |
공공부문에서 일어나는 전반적인 현상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기 위하여 공익의 가치와 이념, 조직관리, 인사행정, 재무행정, 분야별 정책의 이론 및 실제를 지식정보화사회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공공부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창의적 기획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전략이 논의된다.
창의적 기획과 분석능력을 갖춘 관리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공공부문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는 미래예측기법, 통계적 방법론, 그리고 이를 활용한 조사 설계에 이르기 까지 종합적인 분석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이론의 습득과 컴퓨터를 활용한 실습이 이루어진다.
감사제도의 연혁, 현행 감사제도의 기본적 개념, 감사기법 등 공공감사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룬다. 또한 외국의 감사제도와의 비교를 통하여 현행 감사제도의 효율성, 전문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토의한다.
공공부문의 전자업무처리시스템 하에서 발생하는 전자부패(e-corruption), 전산시스템의 오남용 등에 대한 전산감사의 개념, 기법 등을 강의한다. 사례중심으로 전자정부 시스템의 부패 취약성 감소방안, 개인정보보호 방안, 컴퓨터 범죄방지 방안 등을 토의한다.
직무감찰, 회계감사 등의 전통적 감사에서 정책의 능률성, 효과성, 형평성 등에 대한 감사도 포함하는 현대적 감사로의 전환의 의미, 정책감사를 위한 기법 등을 강의한다. 외국에서의 정책감사와의 비교를 통해 현행 정책감사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을 토의한다.
공무원이 공무원의 신분으로서 의무를 위반함으로써 받게 되는 불이익이나 법적 제재를 공무원 책임이라 하며, 협의의 공무원책임에는 징계책임과 변상책임이 있으며, 광의의 공무원의 책임에는 형사상 책임 및 민사상 책임을 포함한다. 공무원의 책임유형 각각에 대한 관련법규, 절차, 부패억제 효과 등을 중심으로 심도 있게 토의한다.
최근 공직자 부패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공공계약에 관한 절차, 관련 법규, 위반사례 등을 심도 있게 다룬다. 또한 정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조달행정에 관해서도 토의한다.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감사이론과 지방행정 서비스의 합법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감사기법을 지방행정 분야별로 구체적으로 다룬다. 또한 외국의 지방감사 현황과 실태를 조사하여 벤치마킹 사례를 중심으로 토의한다.
공공기관의 사회적 성과를 감사하고 인적 자원관리의 효율성 증대를 도모하는 감사전략인 사회적 성과 감사의 이론과 기법을 다룬다. 급여감사, 보상감사, 교육훈련감사 등 다양한 성과관리 분석수단들을 학습한다.
공공투자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제도와 총사업비관리제도 등을 통하여 관리되고 있으나 사업의 시작부터 운영까지 전 단계에 걸친 체계적인 사업관리절차가 미흡한 실정이다. 영국의 관문심사제도(Gateway Review) 등 공공사업에 대한 외국의 감사기법을 사례중심으로 토의한다.
지방재정의 세입, 세출,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재정관리제도와 운영 실태를 다룬다. 지자체의 금고, 기금, 채권관리와 지방재정 투·융자심사제도와 분석·진단제도 등을 실무 위주로 학습한다.
자체감사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자체감사기구의 조직, 인사, 정보, 예산의 바람직한 관리를 학습한다. 또한 미국, 영국, 캐나다 등 외국의 자체감사제도와의 비교를 통해 현행 제도의 개선방안을 토의한다.
부패의 개념, 부패에 관한 이론적 접근, 한국부패의 실태, 부패의 원인진단, 부패의 경제적 효과, 부패와 정경유착, 부패방지제도 등을 학습한다. 부패척결을 통하여 신뢰의 행정상을 회복하고 새로운 세기에 맞는 공무원상을 정립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한다.
세계 부패극복을 목표로 하는 공익적인 국제비정부기구인 국제투명성기구, 재정투명성 관련 국제기구인 국제통화기금 등의 국제감사체계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다룬다. 국제투명성기구의 국제부패지수, 재정투명성에 관한 IMF 기준, IMF 재정투명성 규약, 우발채무 재정리스크 관리의 법제화 등에 대해 심도 있게 토의한다.
주로 민간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개발되어 온 윤리경영론을 공공기관에 도입하여 새로운 각도에서 행정의 사회적 책임을 다룬다. 공공윤리경영시스템, 이해관계자와 윤리적 의사결정, 인사·조직·예산·정보의 윤리경영 등에 대해 토의 한다.
공공부문에 적용될 수 있는 회계원칙, 기준, 절차 등의 기초적인 회계이론뿐만 아니라 예산관리, 수입·지출관리, 계약관리, 물품관리, 재산관리, 채권·채무관리 등 정부회계과정 전반에 대해 폭넓게 다룬다. 또한 복식부기 등 최근의 정부회계 부문의 변화도 토의한다.
보건·위생·복지, 소방·재난관리·민방위, 세입·세출, 인사·조직·관리, 지역경제·개발, 지방공기업, 환경 등 행정 분야별로 감사이론을 실제사례에 적용하는 연습을 수행한다.
감사현장에서 다루게 되는 각종 통계자료의 처리 및 해석을 위하여 필요한 각종 통계기법을 실습 위주로 강의한다. SPSS 등의 통계패키지를 활용한 통계실습은 합리적·과학적 감사를 위한 기법 위주로 진행된다.
시민참여감사 또는 주민감사청구제도는 위법부당한 행정처분이나 불합리한 행정제도로 인하여 주민의 권익을 침해받은 경우에 일정한 수 이상의 주민에게 연대 서명을 받아 주민이 직접 감사를 청구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관련법규, 절차, 주민감사 사례 등을 토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