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 | ![]() |
![]() | ![]() |
※ 3급 정학예사 자격요건 (자세한 사항은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www.museum.go.kr 참고)
1. 박사학위 취득자로서 경력인정대상기관에서의 실무경력이 1년 이상인 자
2. 석사학위 취득자로서 경력인정대상기관에서의 실무경력이 2년 이상인 자
3. 준학예사 자격을 취득한 후 경력인정대상기관에 서의 재직경력이 4년 이상인 자![]() | 김연희 (주임교수) 부교수 02-910-6437 / 생활관D동4층3호실 tofree1@kookmin.ac.kr |
성명 | 직위 | 취득 학위 | 연락처 |
---|---|---|---|
조경호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4431 khcho@kookmin.ac.kr |
이석환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4308 palee@kookmin.ac.kr |
하현상 | 교수 | 행정학 박사 | 02-910-5625 hsha@kookmin.ac.kr |
김연희 | 부교수 | 예술학 박사 | 02-910-6437 tofree1@kookmin.ac.kr |
임영빈 | 조교수 | 도시 및 지역계획학 전공 | 02-910-4436 yblym0207@kookmin.ac.kr |
유진룡 | 석좌교수 | 행정학 박사 | yoojr09@gmail.com |
김연수 | 겸임교수 | 문화예술학 박사 | ivette1@empas.com |
박현택 | 겸임교수 | 미술학 박사 | wanderman00@naver.com |
안상용 | 겸임교수 | 행정학 석사 | mudian@gmail.com |
장은정 | 겸임교수 | 고고미술사학 석사 | anarchi2@korea.kr |
본 전공 졸업생 및 재학생들은 국・공립 및 사립 박물관의 관장 및 학예연구사는 물론, 문화예술관련 공공기관인 문화재단 행정직과 문화예술교육기관의 문화예술교육사로 종사하고 있습니다. 또한 프리랜서로서 독립기획자, 민간문화예술기획사, 갤러리 큐레이터, 문화관련 기업체 등에도 진출하여 활발한 활동을 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역사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영은미술관, 꼭두박물관, 풀짚공예박물관, 경찰박물관, 고양어린이박물관, 중남미문화원, 은평구립미술관, 은평역사한옥박물관, 경기도 박물관, 대림미술관 디뮤지엄, 수워문화재단, 양평문화재단, 인천시립박물관, 인천시립미술관, 인천 어린이박물관, 한강 뮤지엄, 탄허박물관, 울산중구청 학예인력, 김해한림박물관, 솔트나아트, 김포문화재단, 한국메세나협회, SICAF, 서울공예박물관, 이화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 한국박물관협회, 얼굴박물관, 이화박물관, 부산시립미술관, 경기도박물관협회, 갤러리 나우 등
※ "입학안내" 참고
이수구분
|
학점
|
교과목명
|
영어 교과목명
|
---|---|---|---|
공통필수
|
2
|
행정과 정책
|
Introduction to Public Administration & Policy
|
2
|
사회현상과 행정통계
|
Social Phenomenon & Statistics for Public Administration
|
이수구분 | 학점 | 교과목명 | 영어 교과목명 |
---|---|---|---|
전공필수 | 2 | 문화예술행정학 개론 | Introduction to Culture and Art Administration |
2 | 문화예술정책론 | Culture and Art Policy | |
2 | 예술경영개론 | Introduction to Art Management | |
2 | 문화예술 기획론 | Culture and Art Planning | |
2 | 문화예술 마케팅과 홍보 | Culture and Art Marketing and PR | |
2 | 문화예술 재원조성 |
Culture and Art Funding
|
|
2 | 문화예술과 법 |
Culture and Art Related Law
|
|
2 | 문화예술 기관 운영론 |
Operation of Culture and Art Institution
|
|
2 | 문화정책과 문화복지 | Culture Policy and Culture Welfare | |
전공선택 | 2 | 문화예술 프로젝트 실습 | Field Work in Culture and Art Project |
2 | 문화행사기획 | Cultural Event Planning | |
2 | 로컬 문화예술 코디네이션 |
Local Culture and Art Coordination
|
|
2 | 전시기획론 |
Exhibition Planning
|
|
2 | 예술과 테크놀로지 |
Arts and Technology
|
|
2 | 디지털 문화예술 행정 |
Digital Culture and Art Adminstration
|
|
2 | 글로벌 문화예술 행정 |
Global Culture and Art Adminstration
|
|
2 | 시각예술매니지먼트 |
Visual Art Management
|
|
2 | 미술감상론 |
Arts Appreciation
|
|
2 | 공공문화정책과 거버넌스 |
Public Culture Policy and Governance
|
|
2 | 문화행정과 지방자치 |
Culture Adminstration and Municipality
|
|
2 | 문화예산 및 재정관리 |
Culture Budget and Finacial Management
|
|
2 | 공공문화기관 운영론 |
Operation of Public Culture institution
|
|
2 | 문화사업 평가 및 성과관리 |
Evaluation and Performance Manegement of Culture Business
|
|
2 | 문화행정과 국제협력 |
Culture Adminstrati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
2 | 문화예술 공공데이터와 행정 |
Public Data and Administration in Culture and Art
|
|
2 | 문화도시와 지역문화정책 |
Cultural City and Local Culture Policy
|
|
2 | 전시공연융합프로젝트 |
Special Topics in Integrated Perfomance & Exhibition Project
|
|
2 | 논문연구방법론 |
Thesis Research Methodolgy
|
|
2 | 기획제작 및 시현 |
Planning, Production and Presentation
|
|
2 | 문화기술특론 |
Special Issues in Cultural Technology
|
|
2 | 전시기획특론 |
Special Issues in Exhibition Planning
|
|
2 | 문화예술축제연구 |
Research for Culture and Art Festival
|
공공부문에서 일어나는 전반적인 현상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기 위하여 공익의 가치와 이념, 조직관리, 인사행정, 재무행정, 분야별 정책의 이론 및 실제를 지식정보화사회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공공부문에 대한 이해를 돕고 창의적 기획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전략이 논의된다.
창의적 기획과 분석능력을 갖춘 관리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공공부문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지는 미래예측기법, 통계적 방법론, 그리고 이를 활용한 조사 설계에 이르기 까지 종합적인 분석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이론의 습득과 컴퓨터를 활용한 실습이 이루어진다.
● 기초 이론 과목
문화예술행정의 개념, 역사, 주요 이론 및 국내외 사례 연구
문화정책의 형성과 변화, 정부와 민간의 역할, 한국 및 해외 문화정책 분석
예술기관 및 단체의 운영 원리, 마케팅, 재원 조성, 조직 관리 개론
정부와 민간의 협력 방식, 공공재로서의 문화예술, 문화정책 결정 과정과 이해관계자 분석
지역 문화행정의 구조와 역할, 지방정부 문화예산 편성, 지역문화진흥법
전시, 공연, 축제 등 문화예술 프로젝트 기획 및 운영
예술 시장의 특성과 관객 개발, 브랜드 전략, 디지털 홍보
공공 지원, 기업 후원, 크라우드펀딩, 기부금 조성 전략
저작권, 계약, 공공기관 운영법, 문화예술 지원 정책 이해
박물관, 미술관, 공연장, 예술단체 운영과 사례 연구
문화행정 조직의 재정 운영 원칙, 정부 보조금, 공공기금, 민간재원 활용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문화원 등의 운영과 관리, 조직 구조, 기획·홍보, 관객 개발
공공 문화정책 및 사업 평가 방법론, 정성적·정량적 평가 지표 개발
국제 문화교류 정책, 해외 문화기관 협력 사례, 유네스코, 국제기구, 글로벌 문화정책
문화행정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공공기관의 데이터 기반 정책 수립
지역문화진흥과 도시재생, 문화도시 조성 정책, 지역 문화행정의 특성과 사례
실제 프로젝트를 기획·운영하며 실무 역량 강화
지역 기반 문화사업 기획과 실행 전략
AI, 빅데이터, NFT, 메타버스 등 디지털 기술과 문화예술행정
해외 문화예술 기관 운영 사례, 국제 교류 전략